본문 바로가기

정보처리

스키마

728x90

1. 스키마(Schema)의 개념

-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(Specification)를 의미

-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데이터 개체(Entity), 속성(Attribute), 관계(relationship) 및 데이터 조작 시 데이터 값들이 갖는 제약 조건 등에 관해 전반적으로 정의

- 스키마는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외부 스키마(External Schema), 개념 스키마(Conceptual Schemna), 내부 스키마(Internal Schema)로 나뉨

 

2. 스키마의 특징

- 스키마는 데이터의 구조적 특성을 의미

- 스키마는 데이터 사전(Data Dictionary)에 저장

- 스키마는 현실 세계의 특정한 한 부분의 표현으로서 특정 데이터 모델을 이용해서 만들어짐

- 스키마는 시간에 따라 불변인 특성을 가짐

- 스키마는 데이터의 논리적 단위에 명칭을 부여하고 그 의미를 기술

 

3. 스키마의 3 계층

1) 외부 스키마 :

- 외부 스키마는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각 개인의 입장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

- 외부 스키마는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한 논리적인 부분으로 볼 수 있으므로 서브 스키마(Sub Schema)라고도 함

-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는 여러 개의 외부 스키마가 존재할 수 있으며, 하나의 외부 스키마는 여러 개의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에 의해 공유될 수 있음

- 외부 스키마는 동일한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서로 다른 관점을 정의할 수 있도록 허용

2) 개념 스키마 :

- 개념 스키마는 개체 간의 관계와 제약 조건을 나타내고 데이터베이스의 접근 권한, 보안 정책 및 무결성 규정에 관한 명세를 정의

- 개념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적 구조로서, 모든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들이 필요홀 하는 데이터를 통합한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 명세로서 하나만 존재

- 단순히 스키마라고 하면 개념 스키마를 의미

- 개념 스미카는 기관이나 조직의 관점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정의

- 개념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 의해서 작성

3) 내부 스키마 :

- 내부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정의한 것

- 내부 스키마는 물리적 저장장치의 관점에서 본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명세로서 하나만 존재

- 내부 스키마는 개념 스키마의 물리적 저장 구조에 대한 정의를 기술한 것

- 내부 스키마는 시스템 프로그래머나 시스템 설계자가 보는 관점의 스키마

 

4. 데이터 사전(Data Dictionary)

- 데이터 사전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 개체들에 대한 정보를 유지,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시스템 카탈로그라고도 함

- 데이터 사전에는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(Data About Data)가 저장되어 있다고 하여 데이터 사전을 메타 데이터라고도 함

 

5. 메타 데이터(Meta Data)

-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 즉 실제 저장되는 데이터는 아니지만, 저장되는 데이터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

728x90

'정보처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ER(Entity Relationship) 모델  (0) 2024.04.22
데이터베이스 설계  (0) 2024.04.16
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(DBMS)  (0) 2024.04.15
데이터베이스 개념  (0) 2024.04.12
JAVA 기초  (0) 2024.04.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