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정보처리

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(DBMS)

728x90

1.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(Database management System)의 개념

-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보를 생성해 주고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 주는 소프트웨어

-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기존의 파일 시스템이 갖는 데이터의 종속성과 중복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시스템으로 모든 응용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관리

- 기존 파일 시스템의 문제점

1) 데이터 종속성으로 인한 문제점 :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파일 간에 상호 의존적인 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데이터 파일이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는 방법이나 저장된 데이터의 접근 방법을 변경할 때 응용 프로그램도 같이 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

2) 데이터 중복성으로 인한 문제점 : 중복된 데이터 간에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여 일관성이 없어지고, 중복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에 동등한 보안 수준을 유지하기가 어려우며, 제어의 분산으로 데이터의 정확성이나 무결성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

 

2.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필수 기능

- 정의 기능(Definition Facility) : 데이터의 타입과 구조,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때의 제약 조건 등을 명시하는 기능을 제공

- 조작 기능(Manipulation Facility) : 체계적 데이터 처리를 위해 데이터 접근 기능(검색, 삽입, 삭제, 갱신 등)을 명시하는 기능을 제공

- 제어 기능(Control Facility) : 데이터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무결성, 보안 및 권한 검사, 병행 제어 등을 명시하는 기능을 제공

 

3. DBMS의 장, 단점

장점 :

- 데이터의 논리적, 물리적 독립성이 보장

- 데이터를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음

- 데이터를 표준화할 수 있음

-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음

-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가 가능

- 데이터의 중복을 피할 수 있음

-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음

-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음

-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음

 - 데이터의 최신성을 유지할 수 있음

단점 :

- 데이터베이스의 전문가가 부족

- 대용량 디스크로의 집중적인 접근(Access)으로 과부하가 발생

- 전산화 비용이 증가

- 데이터의 백업(Backup)과 회복(Recovery)이 어려움

- 시스템이 복잡

728x90

'정보처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데이터베이스 설계  (0) 2024.04.16
스키마  (0) 2024.04.16
데이터베이스 개념  (0) 2024.04.12
JAVA 기초  (0) 2024.04.08
C언어 함수  (0) 2024.04.08